json-server
간단하게 데이터 베이스와 API 서버를 생성해주는 패키지
💻 json-server 설치 코드
yarn add json-server
💻 json-server 실행 코드
백엔드 서버이기 때문에 따로 실행을 해줘야 한다.
yarn json-server db.json --port 포트번호
💻 json-server 기본 주소
http://localhost:포트번호
json-server 사용 방법
1️⃣ json-server 패키지를 설치한다.
yarn add json-server
2️⃣ root 경로에 db.json 파일을 생성한다.
// db.json 예시 코드
{
"posts": [
{
"id": 1,
"title": "json-server에 대해 알아보자",
"content": "json-server에 대해 알아봤다.",
}
],
}
파일 안에 원하는 데이터를 넣어주면 된다.
id값을 직접 넣어주지 않아도 된다. json-server에 데이터가 들어오면 자동으로 생성해준다.
3️⃣ json-server을 실행시킨다.
yarn json-server db.json --port 포트번호
사용하는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하다.
json-server에 들어있는 데이터를 조회하고,
json-server에 데이터를 추가/삭제/수정할 수 있는 방법도 알아야 한다!
이것은 다음 글에서 알아보자.
json-server을 사용하는 이유
1️⃣ 실무 측면에서
백엔드에서 실제 데이터 베이스와 API 서버가 구축될 때까지
프론트엔드 개발에 임시적으로 사용할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서이다.
즉, json-server을 이용하면 백엔드의 작업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프론트엔드에서 로직과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.
2️⃣ 학습 측면에서
Restful API 개념을 빠르게 학습할 수 있다.
이를 통해 실무에서 필수적인 API 설계와 구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.
그동안 사용해본 supabase와 firebase는 Restful API를 사용하고 있지 않다.
반응형
'Front-end > 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MBTI 테스트] - Tanstack Query에서 Optimistic Updates 적용하기 (0) | 2025.02.25 |
---|---|
[MBTI 테스트] - 카카오톡 공유하기 기능 만들기 (1) | 2025.02.24 |
2주 동안 React를 사용하면서 느낀 점 (1) | 2025.02.08 |
[React] useContext에 대해 알아보자 (0) | 2025.02.05 |
[React] React-Router-Dom에서 Query String 사용하기 (0) | 2025.02.03 |